날씨가 따뜻해지는 4월이 되니까 주위에 결혼하는 사람들이 많아지고 있습니다. 결혼을 축하하기에 앞서 대부분의 사람들은 결혼식 축의금 금액 때문에 고민을 많이 하게 됩니다. 얼마를 내야 하는지 딱히 정해진 기준이 없기 때문에 더 고민이 되실 겁니다.
하지만 결혼하는 사람이 나와 어떤 관계냐에 따라서 암묵적으로 정해진 결혼식 축의금 금액이 있습니다. 흔히들 들어보셨을 텐데 기본적으로 3만 원, 5만 원, 7만 원, 10만 원 그리고 이 이상의 금액으로 많이들 하고 있습니다.
그럼 지금부터 어떤 관계일 때 얼마의 금액을 내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3만원
요즘은 3만원을 하는 경우는 극히 드물지만 내가 현재 수입이 없는 상태이거나 상대방과 딱히 친분이 없는경우에 3만원을 많이 합니다. 3만원의 결혼식 축의금은 굳이 가지 않아도 되는 상황이지만 만약 가게 된다면 기본으로 하게 되는 성의의 표시 금액입니다.
5만원
5만원은 결혼식 축의금 금액 중 가장 많이 사용되는 금액입니다. 5만원은 자주 연락하는 친구는 아니지만 가끔 연락하는 사이의 경우에 많이 하며, 직장동료 중에서도 친하지는 않은데 어느 정도 인사만 하고 지내는 경우에 적합한 금액입니다.
만약, 내가 경제적으로 수입이 있는 상태라면 상대방과 친하지 않더라도 3만원 보다는 5만원을 하시는 게 좋습니다.
7만원
보통 7만원은 축의금으로 잘하지 않는 금액입니다. 3~5만원 보다는 높은 금액이지만 애매하게 보여지는 금액으로 차라리 5만원 아니면 10만원으로 내시는게 좋습니다.
10만원
10만원은 친한 친구 그리고 친한 동료, 친척관계에서 많이 진행되는 금액입니다. 친분의 기준은 개인마다 다르겠지만 내가 이 사람과 그래도 오래 알고 지냈고 몇 번의 식사자리를 가진 경우에는 10만원을 기본으로 하시는 게 좋습니다.
10만원이상
10만원이상의 축의금부터는 정말 절친이거나 굉장히 가까운 관계일 때 전달하는 금액으로써 15만 원, 20만 원, 25만 원, 30만 원 이런 식으로 많이 진행됩니다.
결혼식 축의금 금액의 경우 꼭 얼마를 내야 한다는 공식적으로 정해진 기준은 없습니다. 하지만 이렇게 암묵적으로 정해진 기준은 있기 때문에 자신과 결혼식 주인공의 관계에 따라서 금액을 정하시면 됩니다.
가끔 적게 내고 나중에 후회하는 사람들을 종종 봤는데 나중에 다 돌려받는다 생각하시고 경제적 여유가 되신다면 넉넉하게 축의금을 전달해 주시는 게 좋다고 생각됩니다.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입덧 완화 음식 이것만 드셔보세요 (0) | 2021.04.29 |
---|---|
스마트스토어 추가개설 30초면 끝 (0) | 2021.04.25 |
흰머리 나는 나이 몇살부터 시작일까? (0) | 2021.04.23 |
코 모공 축소 집에서도 가능할까? (0) | 2021.04.22 |
옷 유성매직 지우는법 집에서 간단하게 (0) | 2021.04.1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