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저축, 절약이라는 단어는 항상 마음속에 품고 있지만 실천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움직이면 돈이기 때문에 생활속에서 조금이라도 금전적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그 중 통신비 할인카드는 고정적으로 나가는 통신비 일부를 할인받을 수 있는 혜택입니다.
통신비 할인을 받기 위해서는 카드를 사용해야하며, 정해진 기준실적을 채워야지만 할인을 받을 수 있습니다. 여기서 참고하셔야 할 점은 할인을 받기 위해 일부러 실적을 채우시는것은 의미가 없습니다. (배보다 배꼽이 더 크다는 말)
대부분의 할인 혜택들을 보면 평소에 지출을 어느정도 하시는 분들에게 도움이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지금부터 소개해 드리는 카드의 실적, 할인율, 그 외 혜택들을 종합적으로 보시고 판단하시면 도움이 되실겁니다.
삼성카드 taptap O

삼성카드 taptap O의 통신비 할인은 10%입니다. 기준실적은 1개월 30만원 이상을 사용하셔야 합니다. 연회비는 국내 1만원, 해외 1만원이며 신규의 경우 최대 1만원을 지급해 주고 있습니다.
카드마다 혜택들이 다른데 삼성 taptap O의 경우 커피 연 최대 12만원까지 할인되며 스타벅스는 50%, 그 외 카페는 30% 할인을 받을 수 있습니다. 평소 카페를 자주 이용하시는 분들에게 유용한 카드입니다.
그 외 대중교통(버스,지하철,택시요금) 10%할인을 받을 수 있으며 쇼핑, 영화, 편의점에서도 할인을 받으 실 수 있습니다.
KB국민 청춘대로 톡톡카드

KB국민 청춘대로 톡톡카드의 경우 통신비 10%할인을 받을 수 있으며, 기준실적은 1개월 30만원 이상 사용입니다. 연회비는 국내 1만원, 해외 1만2천원이며 신규의 경우 최대 1만2천원 지급을 받을 수 있습니다.
청춘대로 톡톡카드는 20년도 KB국민카드 온라이발급 1위를 차지함으로써 그만큼 사람들이 많이 이용하고 있다는걸 알 수 있습니다.
스타벅스의 경우 최대 60%까지 할인을 받을 수 있으며 그 외 카페,베이커리는 간편결제 이용시 10%할인을 받을 수 있습니다. 또, 대중교통, 쇼핑, 영화 등 간편결제를 이용할 시 10%의 할인을 받을 수 있습니다.
신한카드 Mr.Life

신한카드 Mr.Life의 경우 3대 통신사 모두 10%할인을 받을 수 있습니다. 기준실적은 1개월 30만원 이상이며 연회비는 국내 1만5천원, 해외 1만8천원 입니다. 신규의 경우 최대 1만 8천원을 지급 받습니다.
이 카드의 경우 정말 다양한 혜택들이 있는데, 앞서 말씀드린 카드와는 다르게 관리비 (전기, 도시가스) 10%할인 혜택이 있으며 주유시 리터당 60원을 할인받을 수 있습니다.
또, 대형마트 (이마트, 홈플러스, 롯데마트), 대중교통, 카페/베이커리, 편의점, 의료(병원,약국) 등에서 10%할인을 받을 수 있습니다.
LOCA LIKIT카드 (로카 라이킷)

이름부터가 특이한 로카 라이킷 카드는 통신비 10%할인을 제공하고 있으며, 기준실적은 1개월 40만원 이상입니다. 직전 말씀드린 카드들 보다 실적이 10만원 이상 높기 때문에 평소 지출금액을 잘 따져보셔야 합니다.
연회비는 국내 1만원, 해외 1만원 신규 최대 1만원 지급을 받습니다. 로카 라이킷 카드의 최대 장점은 연간 최대 42만원의 할인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그 외 스타벅스 50%할인, 영화 50%할인, 대중교통 10%할인, 배달앱 5%할인이 있습니다.
삼성 iD ON 카드

삼성 iD ON카드는 통신비 10% 할인을 받을 수 있으며 기주실적은 1개월 30만원 이상입니다. 연회비는 국내2만원, 해외 2만원으로 다른 카드보다 1만원 이상 높습니다. 신규의 경우 최대2만원을 지급 받습니다.
삼성 iD ON카드의 경우 연 최대 48만원을 할인받을 수 있습니다. 특이한 점은 외식(커피전문점, 배달앱, 델리 중)부분에서 가장 많이 쓰는 영역에 30% 자동맞춤 할인을 받을 수 있습니다.
그 외 대중교통 10%, 스트리밍 10%, 온라인 간편결제 3%의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말씀드린 통신비 할인카드의 할인율은 10%이며, 그 외 다양한 혜택들이 있습니다. 자신의 생활습관에 맞는 카드를 선택하여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블로그로 돈버는법 전부 알려드립니다 (1) | 2021.05.21 |
---|---|
건강보험자격득실확인서 발급 정말 쉬워요 (0) | 2021.05.10 |
재직증명서 발급방법 1분이면 집에서 가능 (0) | 2021.05.05 |
국민취업지원제도 구진촉진수당 입금 언제? (0) | 2021.05.04 |
돈 많이 버는 직업 순위 최신정보 (0) | 2021.05.04 |
댓글